| 두뇌는 인체의 오장육부를 비롯한 신체의 다른 기관들과 상호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두뇌가 개발되기 위해서라도 다른 장부나 기관들도 함께 개선되지 않으면 안됩니다. 그러니까 학습능력개발이라는 것은 두뇌개발에 국한되는 차원이 아니라 인체의 질서체계를 총체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차원의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학습능력은 두뇌 활동 뿐 아니라 생활 습관이나 건강 상태 등도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이 책은 이런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한의학적 인체생리기전의 연구 성과와 인지발달 과학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개발된 학습능력개발 기능성 교재입니다.
이 책은 ‘한국사회개발원 차서연구회’가 개발한 교재로 통상적 의미의 학습능력 개발은 믈론 종합적 인식능력을 확장하고 지적능력의 발전단계를 높일 수 있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입니다. 참고로 본서의 구성은 아래와 같은 과정의 순차를 염두에 두고 있음을 밝혀둡니다.
1) 감각수용체(感覺受容體)개발 : 인지발달과정 이 과정은 보고 듣고 냄새 맡는 등 일차 정보를 취득하는 인식능력을 개발하는 과정입니다. 두뇌활동 차원에서도 일차적으로 사물과 정보를 인지하는 능력이 우선시 됩니다. 그리고 성격이나 생활 습관 그리고 개별적 지구력이나 집중력 등이 학습에 큰 영향을 주므로 이런 부분들에 대한 교정도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2) 감성발성체(感性發性體)개발 : 연역추리과정 이 과정은 원료를 처리가공하는 공정에 해당합니다. 이미 취득된 정보들을 분류하고 서로 연관시키면서 추리를 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변별력과 분석력을 개발하게 됩니다.
3) 통합적 신호체계(統合的信號體系)개발 : 사고행동체계 과정 이 과정은 앞의 1), 2)의 과정을 거친 정보를 종합 판단하여 새로운 정보를 창출하는 창의력을 키워 가는 과정입니다.
4) 질서신호체계(秩序信號體系)개발 : 연관·구성의 체계화 과정 이 과정은 앞의 1), 2), 3)과정을 좀더 심화시키며 응용력을 키워서 내적인 두뇌 활동 뿐아니라 주변 환경 전반과의 상관하고 연관하는 총체적 행동발달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CEO, 지략가, 기획영업, 상담 등 조직 운영 리더쉽이나 대인 활동력을 개발 시켜줍니다.
2005년 7월 28일 한국사회개발원
|